본문 바로가기
Life_Canada

밴쿠버 살이 - 미친물가로 역이민 가고 싶어요

by 우철스 2023. 6. 22.
반응형

지난 주말에는 가족들이 모두 모여서 햄버거와 소세지를 집에서 만들어 먹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테라스에 나가서 그릴과 숯을 이용해서 두가지 방법으로 햄버거 패티를 구워봤습니다! 숯향을 좋아하는 와이프라 번거롭지만 숯을 태우고 실력 발휘 좀 해봤습니다. 

숯불 위에 패티를 굽굽하니 육즙이 팡! 팡! 터지는게 보이시나요!? 번거로운 일이지만 와이프가 좋아하니 해야죠. 그리고 숯불의 재미는 고기를 모두 굽고나서 조카들과 함께 마시멜로우를 구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조금은 귀찮아서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프렌차이즈 매장의 햄버거처럼 치즈를 올려서 고기뿐만 아니라 풍미를 살리고자 노력해봤습니다. 치즈가 녹을때즈음이면 햄버거 먹을 준비가 끝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치즈가 부드럽게 녹아있으니 더욱 맛있어 보이네요. 그리고 햄버거에 들어갈 야채를 함께 둬서 아이들도 직접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준비를 했습니다. 그리고 햄버거를 만들어 먹었는데요. 먹는데에 너무 집중했던 나머지 완성된 버거 사진을 깜빡했네요.

이민생활 어떤가요?

캐나다에 온지 1년 6개월 정도가 되어가는 시점에서 '캐나다 이민 생활이 어때?'라는 질문에 조금 더 현실적인 답변을 할 수 있게 된것 같아서 글로 남겨보려 합니다. 이전에는 새로운 생활에 적응하기도 쉽지 않아 '사는게 다 비슷하지'라고 말을 했었는데요. 지금은 생각이 많이 바뀐듯합니다. 

 

우선, 캐나다에서도 토론토나 밴쿠버에서 생활을 생각하고 계시다면 제가 쓰는 글이 조금은 적합하다고 할 수 있을것 같아요. 저는 현재 밴쿠버에 거주중이구요. (조금 더 정확히는 버나비와 뉴웨스트민스터의 경계에 살고 있습니다.) 생활 반경은 버나비 지역이라고 말씀 드릴 수 있겠네요. 생활적인것은 포스팅을 통해 알려드리지만 지금은 단순히 물가에 집중해서 보여드리도록 할께요.

 

 

캐나다의 미친 물가.. 역이민 해야할까요?

1. 월세 : 200-300만원 (관리비 별도)

2. 차량 : 40만원 (주유비 약 2000원/리터 + 보험비 등등..)

3. 보험 : 45만원 (집, 차량)

3. 식비 : 150 - 180만원 (주 1-2회 외식)  

4. 통신비 : 약 15만원 (2인 기준)

5. 인터넷 : 8만원

 

물론 저와 와이프가 쓰고 있는 금액의 전부는 아니지만 평균적으로 월 400-500만원 정도를 사용하고 있네요. 두사람이 풀타임으로 일해서 의식주를 버겁게 해결하고 있습니다. 금액적인 부분으로는 아마 와닿지 않으실수도 있으실텐데요. 몇가지 경험담을 나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국밥 : 2만원

- 냉면  : 1만 6천원

- 김밥 2줄 : 만원

- 짜장면 : 만원

- 소주 : 9천원 (음식점 : 1만 5천원) 

- 주유비 : 리터당 2천원 이상

- 양파 1개 : 2천원 

- 도리토스 1봉지 : 3천원

- 한국과자 1봉지 : 2천원

- 맥심모카 100개 : 2만 5천원 

 

위에서 보여드린것 이외에도 많은 부분에서의 가격 상승이 있었는데요. 아무래도 캐나다의 지속적인 인구 증가와 전세계적인 다양한 요소들이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겠죠. 그럼에도 금전적인 어려움은 이전보다 너무나도 급격하게 상승했습니다.

 

인생은 선택의 연속이라는 말이 머릿속에서 떠나질 않네요. 제가 살고 있는 이곳이 우리에게 최선의 선택이 맞는가? 과거의 선택이 현재에도 옳은 선택이 될 수 있는가? 다양한 물음을 매일 하고 있습니다. 캐나다가 좋은 이유라고 하면 대자연을 느끼며 사는거라고 말할 수 있었지만 현재에는 캐나다 전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공기의 질은 떨어지고, 한국에서도 괜찮냐는 질문을 자주 받고 있는 요즘 입니다. 

 

캐나다로 이민을 생각하고 계신분들이 계시다면 더 많은 고민과 더 오랜 시간을 두고 천천히 고민해보고 오시기를 권해드립니다. 몇년전만해도 캐나다에서의 삶을 서울과 비슷하게 바라보던 순간들이 있었는데요. 지금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지금의 순간을 잘버티고 좋은날을 기다려야할지 아니면 한국으로 돌아가야할지 고민이 많아지는 날입니다. 

반응형

댓글